본문 바로가기
  • 이은정의 흐릿한 그림 hazy painting
전시소식

Knocking on the Exit from New York 2014.7.15-7.30 Gallery MC(N.Y)

by 다우징 2014. 7. 1.


Knocking on the Exit from New York

2014.7.15-7.30
opening 2014. 7. 15(Tue.) pm.6

Gallery MC (212-581-1966)
549 WEST 52ND ST, 8TH FLOOR NEW YORK NY 10019 U.S.A

참여작가 : 류인숙, 박병희, 손동락, 양미정, 이경화, 이선영, 이은정, 2창수, 진익송, 최철

‘뉴욕의 출구를 노크하다’
====================================================================
청주는 대한민국 중앙에 있는 도시이다. 현재는 국제화가 덜 되어있는 인구 60만의 도시이다. 이러한 도시에도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세계화라는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세계를 하나로’라는 글로벌리즘은 거대자본 국가인 미국을 중심으로 움직이지만 지구 반대편의 청주까지 영향이 미친다. 이러한 영향은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매순간 더욱 빠르게 전파되며 이러한 영향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면 국제적인 낙오자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힘의 논리로 재편되는 세계화에 예술적인 감성까지 함몰되어서는 안 되므로 청주의 미술 단체인 엑씻(EXIT)은 독립적 미술 감성을 발표하려 한다. 이러한 발표가 미국 경제의 심장부로 인식되는 뉴욕이라면 더 상징적인 일이 될듯하여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다.

세계는 이미 하나의 기계적 움직임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인식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미술은 오랫동안 개개인에 맞추어진 관점을 존중하고 발굴하는 것이다. 거대한 결과를 위해 소모되는 개인이 아닌 소소한 개인 결과를 거대하게 묶는 일이다. 지구 반대편의 아무렇지 않은 개인 미감을 스스럼없이 보여주는 것을 통해 동시대 다른 지역에서 오늘을 어떻게 이해하고 기록하였는가를 살필 수 있다면 뉴욕에 본 전시의 충분한 의의가 전달 된 것이라 할 것이다.

청주는 경제적으로 급하게 거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을 위한다는 명분과 세계가 원한다는 다소 엉뚱한 논리를 가지고 있다. 미술이 이러한 논리를 따르는 것이 타당 할까? 지구 반대편 도시 뉴욕에서 답을 찾아 보려한다.


Knocking on the Exit from New York
============================================================
Cheongju is a city located at the center of Korea. Not sufficiently globalized yet, the city has population of 600,000. Such a city faces globalization, not by choice but inevitably. While pivoting on America, a country of vast capital, globalism with the slogan of ‘Whole World as one’ exerts influence this far away on Cheongju. Such influence spreads ever faster with development in ICT, and when someone fails to respond quickly, that person will easily end up a global loser. We believe artistic sensibility must not be buried in globalization that reshapes the world with economic hegemony, so EXIT, a Cheongju-based art group, will present its independent artistic sensibility. Believing in the greater symbolic significance of locating it in New York, the heart of US economy, we have planned the exhibition.

World is already perceived as operating as a single mechanical movement. In contrast, art is concerned with respecting and unearthing individual-customized perspectives. It is not so much about individuals being consumed for a vast result as about binding tiny individual results into a vast whole. If we can figure out how people in other parts of the world understand and record today through displaying without constraint carefree individual sense of beauty originating from the other half of the planet, we think, the significance of the exhibition will be fully delivered to New York.

Economically, Cheongju is rushing to aggrandization. The justification os that it is for a lot of people and the somewhat eccentric rationale is that the world wants it. Is it OK that art adheres to such a logic? We will find an answer in New York on the other side of the planet.